홈으로

채종원 조성 방법

채종원 조성시 사용된 묘목은 전나무와 일부 활엽수는 실생묘로 삼나무, 편백은 삽목에 의했으며 기타 대부분의 수종에 대한 채종원 조성은 전국에서 선발된 수형목을 모수로 하여 매년 모수에서 접수를 채취하여 접목으로 클론(접목묘)을 육성하여, 지역별(동부,중부, 남부)로 연차별 채종원 조성계획에 의거해 접목묘로 식재 간격을 5m x 5m의 정방형을 근간으로 하였다.

클론배치는 초기에는 9형(3x3), 25형(5x5), 49형(7x7) 등 형태배치로 클론을 배열하였으나, 1975년 이후는 완전 임시 배치를 근간으로 동일 클론의 인접을 피하도록 하였다. 채종원은 매년 다량의 종자가 결실되도록 정지전정 및 토양관리, 병해충방제, 하예 등을 실시한다. 최근에는 수광조건 및 관리 편의성을 고려하여 7m × 7m 간격으로 식재하고 있다.

채종원 및 클론보존원 현황

[2022.12.31.] (단위 : ha)

채종원 및 시험림 현황(품종관리센터)

충주, 춘천, 인제, 강릉, 평창, 안면,청주,고창,사천 수원·제주의 채종원, 클론보존원, 포지·품종보존원, 기타(시험림 등) 현황에 대한 정보와 소계 안내표입니다.

구분 충주지소 춘천지소 강릉지소 안면지소
충주 청주 사천 제주 수원 춘천 인제 강릉 평창 안면 고창
채 종 원 1,023 224 26 30 148 51 174 40 153 55 114 8
클론보존원
(채수포)
70 11 - - 11 9 18 - 11 - 10 -
포지·
품종보존원
10 2 3 4 - - 1 - - - - -
기타
(시험림 등)
1,125 271 11 10 46 - 183 238 199 67 100 -
소 계 2,228 508 40 44 205 60 376 278 363 122 224 8
서울/경기: 수원채종원 | 강원도: 춘천채종원, 강릉채종원 | 충청남도 : 안면채종원 | 충청북도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충주채종원 | 제주도 : 제주채종원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